수동태와 능동태
수동태와 능동태는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
하나하나 배워보겠습니다.
능동태란?
능동태란 주어가 행동을 직접 하는 것입니다. 보통 우리 대화에서 많이 쓰입니다. 능동태의 형태는 이렇습니다.
S + V + O
굉장히 간단한 문장이죠. 평소에 우리가 영어를 작문할 때 쓰는 형태입니다. <주어 + 동사 + 목적어> 능동태에서는 '목적어'가 절대로 빠져서는 안 됩니다.
- 나는 딸기를 먹어. - I eat strawberries.
- 나는 책을 읽어. - I read a book.
- 나는 일기를 써. - I write a journal
간단한 문장입니다. 능동태의 해석은 '주어가 목적어를 동사해'라고 해석해 주면 됩니다. 그렇다면 바로 수동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수동태의 뜻
능동태는 주어가 행동을 직접 하는 것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. 반대로 수동태는 주어가 행동을 당하는 것입니다. 이게 무슨 얘기일까요...? 설명에 앞서 공식을 알아보겠습니다.
S + beV + P.P
'be동사' 뒤에 동사의 맨 마지막 변형 형태인 과거분사형(P.P)이 쓰입니다. 예문들로 비교해 보겠습니다.
- 능동태> 나는 점심에 고구마를 먹어. - I eat a sweetphotato at noon.
- 수동태> 고구마는 점심에 나한테 먹혀. - A sweetphotato is eaten by me for lunch.
- 능동태> 나는 매일 저녁에 일기를 써. - I write a journal every evening.
- 수동태> 일기는 매일 저녁에 나한테 쓰여. - A journal is written by me every evening.
주어와 목적어의 순서가 바뀌었고, P.P형태가 쓰였습니다. 그리고 능동태에서의 주어가 'by'뒤에 쓰이는데, 이때 쓰일 때 대명사로 쓰입니다. 그리고 남은 단어들은 뒤에 그대로 붙여줍니다. ( 'by me' 같이 by이하의 문장은 생략도 가능합니다!) 대명사가 무엇인지 궁금하시죠?
대명사는 '명사를 대신하는 명사'입니다. 그렇다면 대명사를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대명사
<주어> | <목적격 대명사> |
I | Me |
You | You |
He | Him |
She | Her |
They | Them |
We | Us |
It | It |
그런데 왜 굳이 수동태를 쓰는 걸까요? 수동태를 쓰는 이유는 주어를 없애고 싶을 때, 글을 조금 더 생동감 있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수동태를 써줍니다.
수동태의 부정형
수동태의 부정형의 공식은 이렇습니다.
S + bev not +P.P
'be동사' 뒤에 'not'만 붙여주면 됩니다. 영어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. 다만 공식들을 외워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는 하지만....
- 내 컴퓨터는 항상 나에 의해 사용되지 않아요. - My computer isn't always used by me.
- 식물은 나에 의해 심어지지 않아요. - The plant isn't planted by me.
- 에릭은 보스에 의해서 해고되지 않아요. - Eric isn't fired by the boss.
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.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배워보겠습니다.
수동태의 미래형
수동태에도 미래형이 존재합니다.
S + will + beV P.P
미래형인 'will'를 중간에 써줍니다. 그리고 'will'뒤에는 항상 동사의 원형이 와야 합니다. (조동사의 부분은 다른 글에서 다뤄보겠습니다!)
뒤에 'beV'가 있죠? 'beV'의 원형은 'be'입니다. 그래서 'be'를 써줍니다.
- 내 컴퓨터는 항상 나에 의해 사용될 거예요. - My coumputer will be always used by me.
- 식물은 나에 의해 심어질 거예요. - The plane will be planted by me.
- 에릭은 보스에 의해 해고될 거예요. - Eric will be fired by the boss.
해석은 '~가 될 거예요'라고 해석합니다.
그리고 모든 동사들을 수동태로 쓸 수는 없습니다. '~을', '~를'을 붙는 동사들만 수동태로 쓸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본다, 먹는다, 적는다, 짓는다, 심는다, 사용한다... 이 동사들은 앞에 '~을', '~를'이 붙습니다. 하지만 자다, 사라지다, 나타나다, 자라다... 이 동사들은 앞에 '~을', '~를'이 붙으면 어색한 단어들입니다. 이 단어들은 수동태형태로 쓸 수 없습니다.
오늘은 수동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 오늘도 쉬운 영어공부 하세요!
댓글